주소 : https://react-profile-11th.namil.now.sh
늦게 제출해서 죄송합니다.
미션를 진행하면서 제 실력이 얼마나 부족한지 알게되었습니다. 모를때 마다 계속해서 필요한 개념들을 다시 공부하고 제 것으로 터득하는 식으로 하다보니 결국 기한을 넘기게 됬습니다.
하지만 그 만큼 이번 과제를 통해서 느낀게 많은 것 같습니다.
우선 처음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git을 통해서 서로간의 자료를 공유하는데도 익숙치 않았고, 그로 인한 개발환경을 구성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코딩은 삽질의 연속인 것처럼 계속뜨는 오류들을 보면서 next.js, next build등을 통해 now로 정적배포하는데 next.js가 들어가는 새로운 개념을 알게되었습니다. 단편적인 예시였지만, 하고 싶은 말은 이번 과제를 시작하고나서 무의미하게 보낸 시간은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처음 코드를 짤 때 하나의 폴더에 여러개의 Component를 넣고 return하는 결과를 css styled하는 식으로 했었습니다. 하지만 다시 한 번 개념을 잘 읽고 정리하다보니 하나의 폴더에는 하나의 Component만 들어가고 필요할 때 마다 custom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하므로 다음 미션을 진행할 때는 필요할 때마다 Component를 따로 만들어서 재활용을 하는 방향을 지향할 것 입니다.
그리고 props의 개념이 아리송했는데 어디든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포인터같은 역할로 생각을 했습니다. 다른 파일이라도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props를 매개변수로 주면 된다는 점이 왜 react를 사람들이 선호하는지에 대해 조금은 알 것 같았습니다. 이번 과제중 가장 오래 걸렸던 과정은 CSS였습니다. 생활코딩사이트를 보고 독학을 하긴 했었지만, 아직 경험이 미숙했고 필요한 부분들은 그때마다 구글링으로 해결했었습니다. 하지만 역시 남의 짜여준 코드를 100번 보는 것보다 간단한 것이라도 스스로 짜면서 공부하다보니 배우는게 많았습니다. flex의 개념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는데 이번에 flex-direction을 통해 전체적인 구성을 하는게 얼마나 깔끔한지 알게되었고, 필요한 grid모아놓은 Component를 통해 앞으로 react의 전체적인 틀을 구성할까에 대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선택과제에서 나이순으로는 했지만 filter함수는 왜 적용이 안됐는지 다시 고쳐볼 생각이고, state를 통해서 구현하는 법도 다시 코드를 뜯어보면서 공부할 것입니다.